족보의 종류
족보의 종류
1. 족보(族譜), 종보(宗譜)
•본관을 단위로 같은 씨족의 세계를 수록한 책으로 한 가문의 역사와 집안의 계통을 수록한 것이다.
2. 대동보(大同譜 ), 대보(大譜)
•시조가 같으면서도 본이 갈라져 본을 달리 쓰거나 성을 달리 쓰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 한 모든 종파를 총망라하여
편찬한 족보를 말한다. 즉, 본관은 다르지만 시조가 같은 여러 종족이 함께 통합해서 만든 책이다.
3. 세보(世譜), 세지(世誌)
•한 종파 또는 두 개 파 이상의 종파가 서로 합해서 편찬한 보첩을 말하며 동보(同譜), 합보(合譜) 라고도 한다.
4. 파보(派譜)
•시조로부터 시작하여 한 종파만의 이름과 벼슬, 업적 등을 수록한 것이다. 이들 파보에 는 그 권수가 많아 종보를 능가하는
것도 적지 않다. 파보는 시대가 변천함에 따라 증 가되어가고, 그 표제에 연안김씨파보, 경주이씨 좌랑공 파보, 순창설씨 함경파세보 등과 같이 본관과 성씨 외에 지파의 중시조명 또는 집성촌, 세거지 지명을 붙이고 있으나 내 용과 형식에서는 족보와 다름없다.
5. 가승보(家乘譜)
•본인을 중심으로 편찬하되, 시조로부터 시작하여 자기의 직계 존속(尊屬; 자기 윗대)과 비속(卑屬;자기 아랫대)을 망라하여 이름자와 사적(事蹟)을 기록한 것으로 보첩 편찬의 기본이 되는 문헌이다.
6. 계보(系譜)
•본인을 중심으로 편찬하되, 시조로부터 시작하여 자기의 직계 존속(尊屬; 자기 윗대)과 비속(卑屬;자기 아랫대)을 망라하여 이름자와 사적(事蹟)을 기록한 것으로 보첩 편찬의 기본이 되는 문헌이다.
7. 가보(家譜)와 가첩(家牒)
•편찬된 형태나 내용을 표현하는 말이 아니라 집안에 소장되어 있는 모든 보첩을 말한다.
8. 만성보(萬姓譜)
•만성대동보(萬姓大同譜)라고도 하며, 모든 성씨의 족보에서 큰 줄기를 추려내어 집성(集 成)한 책으로 족보의 사전(辭典)이라 할 수 있다.
9. 기타
만성대동보(萬姓大同『문보(文譜)』,『삼반십세보(三班十世譜)』, 『진신오세보(縉紳五世譜)』, 『호보(號譜)』 와 같이 현달한 조상의 세계를 명백히 하려고 한 보서(譜書)나 『대방세가언행록(帶方 世家言行錄)』, 『보성선씨오세충의록(寶城宣氏五世忠義錄)』 등과 같이 조상 중 충, 효, 절, 의가 특히 뛰어난 사적과 공훈을 수록한 것도 있다. 또한, 환관(내시) 사이에도 계 보를 끊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 성이 다른 자손을 입양시켜 자손으로 삼고 가계를 보존 하고 있는 양세계보(養世系譜) 등도 있다.